2023. 9. 21. 14:56ㆍ학교 수업/광고홍보조사방법론
z_scores(표준화된 점수) - location of scores & standardized distributions
raw score= original score or unchanged scores
원 점수를 더욱 의미있게 만들기 위해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새로운 값으로 변형한것이 z-score라고 불린다(짓 스코어)
z-score는 분포 내에서 점수의 정확한 위치를 기술한다.(=>+에 위치하는지 -에 위치하는지 알 수 있음)
ex) iq distribution (u(뮤)=100, lower sigma =15, x=130)
=> 130-100/15 = +2.00 z-score
problem
mean=65,x=59,z=-2.00
=>59-65/x=-2.00
x(표준편차)=3
<using z-scores to standardize a distribution>
모든 x값이 z-score로 변형될 때
shape : 모양은 원점수의 원 분포도와 동일하다.
mean : z-score분포는 항상 0의 평균을 가진다.
#z-score 분포는 표준화된 분포(standardized distribution)라고 불림
표준화 (standardizing) 할 때 이점이 무엇인가?
값들이 각각 다른 분포도에서 왔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점수와 다른 객체를 비교할 수 있다.
ex)
A[x=60 on AD, u=50, lower sigma=10] / B [X=56 on PR, u=48, lower sigma=4]
어느 강좌에서 kim이 더 좋은 점수를 받아야 하는가?
A(60-50/10 = +1.00) B(56-48/4=+2.00)
B강좌에서의 z-score가 더 높음 => kim은 B강좌에서 더 높은 성적을 거둘 것이라고 예상 가능
<looking ahead to inferential statistics>
inferential statistics
- 연구 조사로부터 결과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줌
- 조사는 어떻게 트리트먼트가 모집단 내의 각각에 영향을 줄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한다.
ex)
1.의사가 약 3일치를 제공
2.3일을 복용 후 병원에 재방문
3.눈에띄게 오리지널 모집단에서 차이가 발생하면 약이 효과가 있었다는 증거를 입증.
-샘플이 눈에띄게 차이점이 있는지 결정하는 테크닉을 위해 z-score를 사용하는 것이다.
-z - score는 절대적인 값이 아니고, 상대적인 값이다.
+++++
표준편차 / z score 구하는 방법
표준편차 : 관측치(x)에 제곱한 값을 합친 것이 (ss) / 관측치 개수 (variance) 에 루트를 씌운 것이 표준편차(sd)
Z-score : 관측치(x) - 평균치(u뮤) / 표준편차 (sd)
Z-score를 구하려면 표준편차를 알아야 한다.
'학교 수업 > 광고홍보조사방법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.10 The t-Test for Two Independent Samples (0) | 2023.11.21 |
---|---|
9장 t-test 티검정 (2) | 2023.11.21 |
t-test / f / anova (0) | 2023.11.21 |
Ch. 6 Probability (0) | 2023.10.02 |
광고홍보조사방법론 variability(표준편차) 9/20 (0) | 2023.09.21 |